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2

미국주식 실적 발표 일정과 보는 방법 미국 주식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일정 중 하나는 분기 실적 발표일이다. 국내와 달리 미국 기업들은 결산 실적을 지체 없이 주주들에게 보고해야 한다는 원칙이 자리 잡고 있다. 그래서 실적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도 크다. 미국 주식 투자를 하면서 실적 발표 일정을 어떻게 확인하고 어떤 것들을 중요하게 보아야 하는지 알아보자. 1. 미국 기업의 실적 발표 일정 확인하기 미국 주식 투자를 하면서 가장 쉽게 자료를 얻을 수 있는 곳 중 하나는 인베스팅 닷컴(https://kr.investing.com) 사이트이다. 핸드폰 어플로도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주식의 실시간 주가와 재무상황까지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미국 기업들은 실적자료를 IR 홈페이지에 따로 구체적인 날짜와 함께 공시하지만 이렇게 인베스팅 닷컴에서 .. 2022. 2. 5.
KSP 코인 스테이킹 시작일과 가격 전망 KSP 코인은 일정기간 클레이튼 네트워크 안에 예치해놓고 이자를 지급받는 대표적인 디파이 코인이다. 이렇게 예치해 놓는 것을 스테이킹(Staking)이라고 하는데 KSP 코인이 스테이킹을 처음 시작한 날과 기간을 알아보고 언제쯤 스테이킹 물량이 풀릴지를 예측해 향후 KSP 코인 가격에 미칠 영향을 알아보자. 1. KSP 코인 스테이킹 시작일은? 카카오 코인이라고도 불리는 클레이튼 계열의 코인들은 클레이스왑(https://klayswap.com)이란 탈중앙화 방식의 거래소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다. 이 거래소 내에 유동성을 공급해주고 이자 개념의 보상을 지급해주는 핵심 코인이 바로 KSP 코인이다. KSP 코인을 스테이킹하는 기간은 4개월 8개월 12개월 3가지 중 하나로 선택할 수 있는데 기간 안에 스테.. 2022. 2. 3.
카카오 코인 지갑 클립 코인원에서 출금 주소 인증 하기 카카오톡 코인 지갑 클립으로 코인을 보내기 위해서는 먼저 거래소에서 해당 코인을 매수한 후 클립 지갑으로 출금 신청을 해야 한다. 클레이튼 계열의 Klay와 KSP코인이 상장되어 있는 코인원 거래소에서 코인을 출금하려면 2022년 1월 24일부터 클립 주소 인증이 필요하다. 코인원에서 클립 지갑 인증하는 방법을 간단하게 알아보자. 1. 타 거래소 출금 주소 인증 왜 하는가? 2022년 3월 25일부터 가상자산업계에 트레블 룰이 시행되는데 금융실명제라고 생각하면 된다. 특금법에 따라 2021년 농협으로부터 실명계좌를 받아 사업신고를 한 코인원뿐만 아니라 빗썸 등 가상자산 거래소가 대부분 시행 예정이다. 신원이 밝혀지지 않은 불특정 계좌로 자금이 흘러들어 가지 않고 불법자금으로 흐르지 않고자 한다는 취지의 .. 2022. 1. 27.
연준의 금리 인상으로 인한 나스닥 지수 전망 미국 연준의 2022년 1월 금리 인상 결정을 앞두고 증시가 연일 크게 조정되고 있다.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작년 말 고점 대비 20% 가까이 하락하며 가장 큰 폭의 조정을 보이고 있다. 유독 나스닥의 하락폭이 큰 이유와 과거 2015년 이후 금리인상시기 나스닥 주가의 흐름을 알아보고 2022년 증시를 전망해보자. 1. 코로나19가 키운 나스닥 거품 2020년 3월 코로나19 사태가 심각해지자 미국 연준은 양적완화와 금리인하를 긴급하게 시행하였다. 시중에는 현금 유동성이 넘치게 되었고 주식과 부동산 등으로 돈이 유입되면서 자산 가격을 상승시켰다. 버블 논란은 이미 2020년부터 흘러나왔다. 테슬라의 주가가 2020년 후반 폭등하면서 주가 수익비율 PER이 1000배를 넘어섰다. 이는 실제 가치보다.. 2022. 1. 25.
미국 QQQ ETF의 레버리지 종류와 수익률 비교 레버리지 ETF란 그 수익률을 극대화하여 수익을 내거나 손실이 나는 상품이다. 다양한 지수나 자산을 대상으로 하기도 하고, 인버스에도 레버리지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이 중 미국의 나스닥 지수를 추종하는 ETF인 QQQ의 레버리지 ETF 종류와 수익률을 알아보기로 하겠다. 1. QQQ의 레버리지 ETF 종류 미국 나스닥 지수를 추종하는 QQQ etf의 레버리지 종류는 다음과 같다. QLD etf (2배 레버리지, 수수료 0.95%) TQQQ etf (3배 레버리지, 수수료 0.95%) SQQQ etf (-1배 인버스, 수수료 0.95%) QID etf (-2배 인버스, 수수료 0.95%) PSQ etf (-3배 인버스, 수수료 0.95%) 2. QQQ 레버리지 ETF의 수익률 비교 인버스 레버리지를 제외한.. 2022. 1. 24.
비트코인 ETF 종류와 승인 시기 비트코인은 지난해 2021년 10월 선물 ETF가 승인되면서 가격이 크게 상승하였다. 다만 현물 ETF 승인이 계속 미뤄지면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비트코인의 선물과 현물 ETF의 차이를 알아보고 그 영향 또한 알아보기로 하자. 1. 이미 거래되고 있는 비트코인 선물 ETF 2021년 10월 19일 뉴욕 증권거래소에 미국의 첫 비트코인 선물 ETF인 BITO가 상장되었다. 비트코인의 가격은 다음날 20일 연내 전고점을 돌파하며 선물 ETF의 효과를 누렸다. 비트코인 선물 ETF 승인으로 제도권 안인 증권시장에서 거래가 가능해진다는 점과 그로 인해 좀 더 많은 사람들이 투자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는 점은 가격 상승의 요인이 되었다. 그러나 이번에 승인된 비트코인 선물 ETF는 비트코인의 미래 가격에 간.. 2022. 1. 23.
금리 인상과 비트코인 가격 영향 지난해 연말 10만 달러를 외치던 비트코인의 가격은 미국 연준의 공격적인 긴축과 금리인상 예고로 연일 하락을 면치 못하고 있다. 과거 2017년도와 2018년도 당시 연준의 금리인상 시기와 그 당시 비트코인 가격 흐름을 확인해보고 다가올 금리인상으로 인한 비트코인의 가격은 어떠할지 전망해보기로 하자. 1. 미국 연준 금리 흐름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미국은 대규모 양적완화와 0.25% 저금리 기조를 지속하였다. 그리고 7년 후 2015년 12월 첫 금리인상을 하였고 일 년 후 2016년 12월에 연준은 또 한 번 금리를 0.75%로 인상하였다. 2017년부터는 그 속도가 빨라져 세 번의 금리인상이 있었으며 2017년 12월의 금리는 1.5%까지 다다랐다. 2018년도에는 네 번의 금리인상이 있.. 2022. 1. 21.
비트코인 반감기 날짜와 가격의 흐름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암호화폐를 발행하는 것을 채굴이라고 한다. 대표적인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은 4년마다 채굴량이 절반씩 줄어드는 반감기를 맞이한다. 2009년 최초의 비트코인 이후 지금까지 세 번의 비트코인 반감기 날짜는 언제였으며, 가격의 흐름이 어떠했는지 확인해보고 다가오는 2024년 비트코인 반감기 날짜와 그 영향을 전망해보자. 1. 지난 비트코인 반감기 날짜와 가격 2009년 1월 3일 비트코인의 최초 채굴 이후 지금까지 세 번의 반감기 시기는 언제였는지 알아보자. 2012년 11월 28일 첫 번째 비트코인 반감기 2016년 7월 9일 두 번째 비트코인 반감기 2020년 5월 20일 세 번째 비트코인 반감기 4년에 한 번씩 채굴량이 절반씩 줄어드어 2140년에는 총 2,100만 개의 비트코인 .. 2022. 1. 18.
반응형